삶의질상승

8월 청년도약계좌 신청가능 나이 자격조건 혜택 총정리

인기있는이유 2023. 7. 22.
반응형

지난 6월 15읿부터 11개 은행에서 운영을 본격 개시했던 청년도약계좌가 7월 3일부터 14일까지 가입신청을 받았는데요. 누적 신척자가 무려 103만6천명에 이른다고 합니다.

아직 신청 못한 분들은 8월 1일부터 11일까지 가입이 가능하다니까 좀 기다려보시자구요

이미 신청하여 가입대상으로 확인된 신청자들은 8월 7일부터 18일까지 계좌개설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무슨 엄청난 혜택이 있길래 청년도약계좌가 이렇게 인기가 있는걸까요?

각 은행들 혜택은 비슷하구요 아래와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상세 혜택

청년도약계좌의 큰 혜택은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정부기여금
    청년의 개인 소득에 따라 정부가 부담하는 기여금이 달라지는데요 소득이 3,600~4,800만 사이라면 매월 60만원 한도 내에서 3.7%의 매칭비율을 적용받아 2.2만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즉 아무리 많이 넣어도 최대 지급한도는 60만원에 대한 매칭비율 3.7%를 받기 때문에 2.2만원을 넘을 수 없습니다.

  2. 은행금리
    청년도약계좌를 관리하는 11개 은행에서는 각각 다른 기본금리를 제공하지만 최대 우대사항을 충족하여 받는 조건의 금리는 4.5~5.5% 수준입니다.
    여기에 더하여 개인소득 우대금리까지 적용했을경우 6.0% 혜택을 받을 수 있겠지만 안타깝게도 소득 우대는 총 급여액 2,400만원 이하,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 청년에게만 적용되기 때문에 일부 청년을 제외하면 그냥 포기하는게 낫겠습니다.
    최근 금리가 올라가는 추세기는 하지만 기준금리 동결로 거의 멈춘상태에서 5.5%의 금리는 은행들의 꼼수 마케팅, 예를들면 특정계층, 100만원한도, 신용카드 개설 등등 이상한 조건을 맞춰야하는 극소소의 상품을 제외하고는 최고의 금리 입니다.
  3. 비과세 혜택
    위 혜택에 더해서 비과세 혜택까지 있기 때문에 15.4%의 이자소득세가 발생하는 일반 예적금 상품과 달리 과세되는 세금이 하나도 없이 계좌에 찍힌 전액을 모두 받을 수 있는 비과세혜택이 있습니다.


만약 매월 70만원을 납입했다면
청년소득(총 급여액 기준) 만기 실수령액 비고
2400만원 이하 50,064,600원 소득 우대 적용
2,400~3,600만원 49,444,163원  
3,600~4,800만원 49,389,453원  
4,800~6,000만원 49,307,388원  
6,000~7,500만원 47,871,250원 기여금 지금 없음

납입급액이 같아도 소득 구간에 따라 위의 표처럼 만기 지급금액이 다를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조건은?

청년도약계좌의 조건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나이 기준
    청년도약계좌 가입일을 기준으로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 청년들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병역 기간은 최대 6년까지 제외되니 군대를 만기전역한 분들은 '만 34세 + 본인의 복무기간' 이 가입 제한 나이 기준이라고 보면 됩니다.

  2. 개인소득
    직전연도 과세기간 총 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인 청년만 가입 조건을 충족이 가능합니다. 만약 총 급여액이 6,000만원을 초과하거나 종합소득이 4,800만원을 넘는다면 정부기여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가구소득
    가구소득이 전년도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기준을 충족해야합니다
    1인 가구의 경우 연 중위 소득이 약 4,200만원이고 3인 가구라면 약 9,000만원이기 때문에 대다수 청년들이 어렵지 않게 충족할 수 있을것으로 보이네요. 그러니 만약 조건이 조금 초과되어 혜택을 못받는 분들 중에 혼자 사는 분들은 세대합가, 3인이상 가족인경우는 세대분리등을 통해 청년도약계좌 기준 조건을 맞출 수 있으니 머리를 잘 써보시기 바랍니다.
  4. 금융소득종합과세
    최근 3년 동안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에 해당하지 않았던 사람이어야 합니다.
    쉽게 말해서, 예금, 적금, 주식, 채권등 금융소득이 연 2천만원 이상이 최근 3년이내 있었다면 자격이 안된다는 말인데 이 정도의 금융소득이라면 부유한 환경의 집안인데 대부분의 청년들은 해당이 안될테니 걱정마시기 바랍니다.
개인소득구간에 따른 청년도약계좌 조건 비고
총급여액 종합소득
2,400만원 이하 1,600만원 이하 소득 우대 0.5% 적용
2,400 ~ 3,600만원 1,600 ~ 2,600만원  
3,600 ~ 4,800만원 2,600 ~ 3,600만원  
4,800 ~ 6,000만원 3,600 ~ 4,800만원  
6,000 ~ 7,500만원 4,800 ~ 6,300만원 기여금 지급 대상 제외
     
가구소득에 따른 소득기준 표
가구원수 기준 중위소득 180%(연)
1인 가구 42,007,939 원
2인 가구 70,417,836 원
3인 가구 90,605,542 원
4인 가구 110,615,328 원
5인 가구 130,129,524 원
6인 가구 149,191,286 원
7인 가구 168,060,787 원

 

아쉽게도 7월 신청은 끝났는데요 8월달도 신청 받는다 하니 그 때는 놓치지 말고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본인의 주거래 하는 은행을 찾아 아래 은행사이트를 방문하여 안내사항들을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IBK청년도약계좌 바로가기

 

KB청년도약계좌 바로가기
NH농협 청년도약계좌 바로가기
신한 청년도약계좌 바로가기
우리 청년도약계좌 바로가기
하나 청년도약계좌 바로가기

 

반응형

댓글